


보스톤 남쪽의 빈민가에 살고 있는 윌 헌팅(맷 데이먼)은 MIT 공대에서 교실 바닥청소일을 할 때 말곤 대학 근처에도 가본 적이 없는 청년이지만 어떤 분야든 혼자서 책을 통해 깨우치는 청년. 어느날 MIT의 수학교수 램보가 학생들에게 노벨상을 수상한 교수들조차 혀를 내두를만큼 어려운 문제를 내는데 윌이 이 문제를 단숨에 풀어낸다.
그러나 그토록 머리가 비상하지만 사회에 길들여지지 못한 윌은 불같은 성질에 자신조차 제어하지 못할 정도의 반항적 기질을 지니고 있어서 폭행사건으로 재판을 받고 수감될 위기에 처한다.
이때 그의 뛰어난 머리를 아깝게 여긴 수학교수 램보가 자신의 책임하에 그의 연구를 돕고 정신과 치료를 병행한다는 조건으로 윌을 석방시킨다. 하지만, 어린시절의 누구에게도 사랑받지 못한 상처 때문에 남에게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하는 윌은 심리치료사를 만나는 족족 두손 들고 포기할 정도로 그들을 질리게 만들고 이에 다급해진 램보는 대학시절 룸메이트였던 숀 맥과이어(로빈 윌리암스 분) 교수에게 부탁하기에 이른다.
숀과 처음 만나던 날, 그 명석한 머리로 숀의 상처를 들추어내며 가슴아프게 만든 윌. 하지만 숀은 이런 윌의 모습을 보고, 윌에게 부족한 건 타인의 사랑이며 그 때문에 정신적 성장에 장애를 겪고 있음을 간파한다.
하버드 의대에 다니는 총명한 여자친구 스카일라가 있었지만, 버림받을 것을 두려워한 윌이 그녀를 떠남으로써 관계를 마감하기도 했다. 숀은 이런 윌의 어리석음을 호되게 꾸짖고, 윌은 자신을 진심으로 대하는 숀 또한 사랑하는 아내를 잃은 슬픔에 잠겨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다음지식)
모처럼 연휴가 길어진 시간에 딸아이가 좋은 영화라면서 컴퓨터에 다운을 받아놓고는 "공부하다 지루하면 괜찮은 영화니까 보세요"했기에 무료함을 느껴가는 시간에 여유를 갖고 열어본 영화로 기분좋은 추석선물로ㅎㅎ
길들여지지 않은 야생마처럼 거칠어 보이는 기질과 숨겨진 첨예한 수학적 지식 뿐 아니라 다방면으로 박식한 윌을 상대로 심리상담으로 치료를 해 나가는 과정에서 묘사되어지는 심리적인 부분에 대해 새로운 발견을 발견한 듯 하다.
인생에서 앎이란 것이 경험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앎은 포장된 지식으로 삶에 크게 힘이 되지 못하지만 살아가면서 체득되어지는 앎과 세상지식이 접목되었을 때는 바른 가치관을 형성시켜주는 것을....
우물안에 갇혀있듯이 자기를 벗어버리지 못하고 표출되어지는 것이 폭력적일 수 밖에 없었던 윌에게 숀은 충분한 공감과 자신을 여과없이 드러낼 수 있었던 훌륭한 선생님이었다. 그러하기에 치료의 큰 성과속에 새롭게 발견되어진 인생의 진수일 수 있는 사랑에 눈을 떴다고나 할까~~
마지막 장면에 자신의 사랑하는 여자친구를 찾아 떠나가는 그의 모습에 수 많은 기대감을 갖게하면서 성공을 빌어보게 됨은 돌아갈 수 없는 청년시절에 대한 연민이라 표현하고 싶다. 대리만족이랄까^^
그러고보면 어른들은 아이들을 바라볼 때 가끔 혼돈을 갖게되는 것이 미 발효된 상태의 아이들의 인성을 어른과 견주어서 채근하며 다그칠 때가 얼마나 많은가...
경험에서 얻어지는 올바른 깨우침을 갖도록 단지 조력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한 어른으로서의 자세를 다시금 관철해 보게되는,,,
많은 생각거리를 안겨주었고, 아주 멋진 영화였던 것 같다.
딸아!
고리타분하고 부족한 엄마에게 늘 신선함을 안겨주고, 이전에 누릴 수 없었던 작은 부분들을 채워주는 너의 마음씀이 늘 공감대를 이루면서 어미의 감성을 자극하게 하니 말이다...
고마워^^*
|